육각너트, 6각너트 및 6각낮은너트, KS B 1012(KSB1012)
작성자관리자
- 등록일 24-12-28
- 조회29회
본문
체결류에서 볼트와 마찬가지로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는 너트입니다.
그 중 가장 대표적인 너트가 육각너트이죠.
6각너트는 한국산업규격인 KS규격으로 규격화 되어 있습니다.
맞은분들이 6각너트를 설계 할 경우 스타일이어쩌고, 1종, 2종너트가 어쩌고 많은 부분을 헤깔려 합니다. 그래서 부영볼트에서 6각너트에 대한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하고 실무 현장에서 필요한 6각너트를 발주할 경우 참고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정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■ 규격명 : KS B 1012(6각너트 및 6각낮은너트)
■ 규격의 내용 : KS에서 규정하는 6각너트는 ISO규격을 따르는 표준, ISO규격을 따르지 않는 표준 2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.
1. ISO 규격을 따르는 표준 : 6각너트와, 6각낮은 너트로 구분된다.
1) 6각 너트 : 형식을 기준으로 스타일1, 스타일2로 구분되고 치수에 따라 A등급, B등급으로 구분된다. 추가로 스타일로 구분되지 않지만 C등급의 너트가 있다.
(1) 스타일 1 : ISO4032 기준을 따름
- 스타일1의 A등급 : M1.6 ~ M16까지
- 스타일1의 B등급 : M20 ~ M36까지
(2) 스타일 2 : ISO4033 기준을 따름
- 스타일2의 A등급 : M5 ~ M16까지
- 스타일2의 B등급 : M20 ~ M36까지
(3) 스타일 형식이 없는 C등급의 너트 : M5 ~ M36까지 적용되며, ISO4034 기준을 따름
2) 6각 낮은 너트 : 6각 낮은 너트는 모따기에 의하여 구분되며, 6각너트와 마찬가지로 치수에 따라 A등급, B등급으로 구분된다. 단 모따기가 없는(ISO 4036)의 6각 낮은 너트의 경우 B등급만 있음
(1) 양 모따기 : ISO 4035
- 양 모따기 형식의 A등급 : M1.6 ~ M16까지
- 양 모따기 형식의 B등급 : M20 ~ M36까지
(2) 모따기 없음 : ISO 4036의 기준을 따르며 M1.6 ~ M10까지 적용됨
2. ISO 규격을 따르지 않는 표준 : 6각너트와, 소형6각너트로 구분되며 각각 모양에 따라 1종, 2종, 3종, 4종으로 나뉜다.
- 소형6가너트는 6가너트보다 대변의 치수가 작다.
- ISO를 따르지 않는 표준은 다듬질을 기준으로 하여 정교함의 차이(공차 범위)의 구분을 둔다.
- KS B 1012규격에서 ISO규격을 따르지 않는 6각볼트는 DIN934 규격의 너트와 치수가 같다.
1) ISO규격을 따르지 않는 6각너트 규격 정보
6각너트 기본 규격 | 소형 6각너트 기본 규격 | ||||||||
나사의 호칭 | m | m1 | s | e | 나사의 호칭 | m | m1 | s | e |
M2 | 1.6 | 1.2 | 4 | 4.6 | |||||
M2.5 | 2 | 1.6 | 5 | 5.8 | |||||
M3 | 2.4 | 1.8 | 5.5 | 6.4 | |||||
M4 | 3.2 | 2.4 | 7 | 8.1 | |||||
M5 | 4 | 3.2 | 8 | 9.2 | |||||
M6 | 5 | 3.6 | 10 | 11.5 | |||||
M8 | 6.5 | 5 | 13 | 15 | M8 | 6.5 | 5 | 12 | 13.9 |
M10 | 8 | 6 | 17 | 19.6 | M10 | 8 | 6 | 14 | 16.2 |
M12 | 10 | 7 | 19 | 21.9 | M12 | 10 | 7 | 17 | 19.6 |
M16 | 13 | 10 | 24 | 27.7 | M16 | 13 | 10 | 22 | 25.4 |
M20 | 16 | 12 | 30 | 34.6 | M20 | 16 | 12 | 27 | 31.2 |
M24 | 19 | 14 | 36 | 41.6 | M24 | 19 | 14 | 32 | 37.6 |
M30 | 24 | 18 | 46 | 53.1 | M30 | 24 | 18 | 41 | 47.3 |
M36 | 29 | 21 | 55 | 63.5 | M36 | 29 | 21 | 50 | 57.7 |
M42 | 34 | 25 | 65 | 75 | |||||
M48 | 38 | 29 | 75 | 86.5 | |||||
M56 | 45 | 34 | 85 | 98.1 | |||||
M64 | 51 | 38 | 95 | 110 |
2) 6각너트 : 다듬질 정도에 따라 다듬질 상, 중, 보통으로 구분됨(너트 높이 즉 m의 정교함의 차이이다.)
- 1종부터 4종까지 모양을 기준으로 4가지 형태가 존재하며, 1종, 2종, 4종의 높이(m)은 같다. 3종너트의 높이는 m1으로 표기함(아래 그림 참조)
- 다듬질 상, 중, 보통은 m을 기준으로 높이 치수 정교함의 차이를 보이며, 상일수록 허용공차가 타이트하다.
(1) 다듬질 정도 상 : M12사이즈 너트의 경우 m(높이)이 10이다. 허용 공차는 -0.43까지이며 m의 최대 허용은 9.57이다.
(2) 다듬질 정도 중 : M12사이즈 너트의 경우 m(높이)이 10이다. 허용 공차는 -0.70까지이며 m의 최대 허용은 9.3이다.
(3) 다듬질 정도 보통 : M12사이즈 너트의 경우 m(높이)이 10이다. 허용 공차는 ±0.9까지이며 m의 최대 허용은 9.1~10.9까지이다.
3) 소형6각너트 : 다듬질 정도에 따라 다듬질 상, 중, 구분됨(이는 너트 높이 즉 m의 정교함의 차이이다.)
- 소형6각너트는, 6각너트의 비해 s와 e가 작다는 차이점이 있다.
- 1종부터 4종까지 모양을 기준으로 4가지 형태가 존재하며, 1종, 2종, 4종의 높이(m)은 같다. 3종너트의 높이는 m1으로 표기함(아래 그림 참조)
- 다듬질 상, 중, 보통은 m을 기준으로 높이 치수 정교함의 차이를 보이며, 상일수록 허용공차가 타이트하다.
(1) 다듬질 정도 상 : M12사이즈 너트의 경우 m(높이)이 10이다. 허용 공차는 -0.43까지이며 m의 최대 허용은 9.57이다.
(2) 다듬질 정도 : M12사이즈 너트의 경우 m(높이)이 10이다. 허용 공차는 -0.70까지이며 m의 최대 허용은 9.3이다.
※ 실무현장에서(일반공구상가 등 볼트가게) 대다수 판매되는 6각너트의 경우 수입산을 췩급하며, ISO규격을 따르지 않는 DIN934 규격의 스펙과 일치하는 6각너트입니다. '다듬질 정도 중 스펙'의 너트라고 참고하면 됩니다.